주식투자 / / 2023. 5. 7. 11:50

포스코 홀딩스 주가 및 투자포인트

포스코홀딩스 주가는 우상향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포스코 홀딩스의 핵심워딩은 이러합니다. " 수직계열화 / 이차전지 소재 / 리튬 니켈 광산 및 염호 / 그린수소"입니다. 포스코 홀딩스는 2차 전지 소재 , 2차 전지 핵심원료 기업임에도 per가 8배밖에 되지 않습니다. 

 

여타 2차 전지 소재, 핵심원료 기업들은 per가 50배 100배 이곳도 있습니다. 그런데 포스코 홀딩스는 8배라뇨 너무 낮을 벨류에이션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2차 전지뿐 아니라 포스코홀딩스가 높은 벨류에이션을 받아야 하는 이유가 또 있습니다. 

 

여러분들 google이라는 기업을 아시죠? 이 기업은 미국 주식에 검색하면 나오지 않습니다. Alphabet이라는 이름으로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알파벳으로 검색해야 합니다. 알파벳은 구글의 지주사입니다. 알파벳에 투자하면 구글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우리도 포스코 홀딩스에 투자하면 포스코가 운영하는 전체 사업에 투자하는 것과 같습니다. 

포스코 2023년 IR 자료 확인하기 ▼▼

포스코홀딩스 ir자료.pdf
3.55MB

 

목차 

더보기

1. 포스코홀딩스 투자포인트

2. 포스코홀딩스 소재매출 증대 

3. LFP 배터리가 삼원계 배터리를 이기지 못하는 이유 

4. 포스코 홀딩스 염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5. 마무리 

 

포스코 홀딩스 투자 포인트 

  • 주가상승은 10년내 박스권 
  • 이차전지 벨류에이션 부여받지 못함 ▶ 여타 이차전지 기업들 per은 10 - 150 인곳도 있음 
  • 이차전지 수직계열화
    • 자원 - 원료 - 소재 
    • 2차 전지가 만들어지는 모든 단계를 포스코 그룹 내에서 해결가능 
    • 수직계열화가 유리한 이유는 원자재 수급이 어려워질 때 그 장점을 발휘함 
    • 현재 미국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
    • 원자재 수급이 어려워질 때 원활한 공급처가 있다면 돈을 긁어모을 수 있음(포스코홀딩스는 원자재 수급 원할)
    • 전기차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소재 수급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 
    • 이 상태로 지속 시 원자재 쇼티지 발생(원자재 부족현상)
    • 포스코홀딩스는 원자재, 소재 사업을 모두 하고 있음
  • 폐배터리 재활용  
    • 폴란드 폐전지 리사이클링 공장 법인 공장 설립 
    • 폐배터리 공장에서 연간 7천 톤 이차전지 재료 확보 가능 
  • 리튬 사업 부분 염호 / 광산 
    • 아르헨티나에 위치한 염호에서 리튬을 연간 10만 톤 공급받을 수 있음 ▶︎ (전 세계 4위) 톤당 리튬 가격 약 1억 원이며 10만 톤 기준 =  약 7조 ~ 10조
    • 아르헨티나 염호 총 매장 총량 1350만 톤 
    • 필바라 미네랄 (호주) 연간 4만 3천 톤(수산화리튬) ▶톤당 리튬 가격 1억 원이며 4만 3천 톤 기준 = 4조 3억 
    • 중국 " 강봉리튬의 경우" 영업이익률 75프로
    • 포스코홀딩스 영업이익률 50프로 잡는다고 하면 1년 영업이익 5조 원 
    • 필바라 미네랄 50% 잡으면 영업이익률 50% 잡으면 1년 영업이익 2조 2천억 

 

  • 인도네시아 니켈 공장 설립 
    • 인도네시아 니켈 보유 1 위
    • 인도네시아 니켈 2천100만 톤 규모 보유 
    • 니켈은 제2의 금 
    • 직접 채굴 > 제련 > 가공 
    • 2025년부터 전기차 100만 대를 만들 수 있는 양 5만 2천 톤  
  • 철강산업 ▶ 그린에너지 전환   
    • 광석 > 제련 > 가공 단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약 2배 
    • 1톤의 철강을 생산할 때 1.8t의 이산화탄소 발생 
    •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수소로 바꾸게 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 90% 이상 감소 
    • (수소환원제철 기술) 생산된 수소로 전기를 만들어 철강을 제련하고 생산하면 생산단가는 줄어들고 영업이익률 증가 
    • 현재 철강을 영업이익률은 약 6% 
    • 그린에너지로 전환하면 영업이익률은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철강사업 수요 증가 
    • 2차 전지 원통형 배터리 수요 증가 ▶ 포스코가 원자재 공급 
    • 중국 철강 업체 구조 조정 및 폐업 ▶ 포스코 철강 수요증가 
    • 철강가격 상승 ▶ 원자재 가격 상승은 영업이익률 증가시킴 
    •  그린에너지 전환과 시너지 

포스코홀딩스 친환경 실적 추이 확인하기 ▼▼

포스코홀딩스 2022년 실적발표.pdf
1.76MB

 

포스코 홀딩스 소재 매출 증대 

2030년까지 수산화리튬 27만 톤, 리사이클링 3만 톤, 리튬 30만 톤, 니켈 22만 톤, 양극재 61만 톤, 음극재 32만 톤을 확보할 수 있어 2030년에는 이차전지 소재 매출만 41조를 예상한다고 합니다. 관련내용은 포스코홀딩스 공식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tcc스틸 주가 전망 및 투자포인트

 

LFP 배터리가 삼원계 배터리를 이기지 못하는 이유 

 

1. 불안정성 

전기킥보드, 전동휠 화재를 뉴스에서 보신 적 있으십니까? 그 화재의 원인은 LFP 배터리입니다. 과거 국내에서 발생했던 쉐보레 볼트 화재는 LG화학이 공급한 배터리입니다. 그 배터리는 LFP 배터리입니다. LFP 배터리는 화재에 취약합니다. 

 

2. 가격

혹시 중국제품 사용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믿음이 가십니까? 중국에서 발표하는 수치를 믿으십니까? LFP 배터리 영업이익률은 사실상 조작된 수치라고 합니다. 또한 LFP 배터리 화재로 인한 보상금 지급도 꽤 많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3. 주행거리 

LFP 배터리배터리 최대 주행거리는 통상 400km 정도라고 합니다. 반면 삼원계 배터리 주행거리는 650km라고 합니다. 전기차 특성상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주행거리가 길어야 합니다. 

 

4. 배터리 3사 행보 

중국  LFP 배터리 질 좋고 수익률이 좋다면, 우리나라 배터리 3사는 왜 3원계 배터리를 밀고 있을까요? 날고 긴다는 똑똑한 사람들이 배터리 3사에 근무하고 있을 텐데 LFP를 배제하는 데는 이유가 있지 않을까요?

🔗 코스모 신소재 주가 전망 및 투자 포인트

 

포스코홀딩스 염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리튬은 광산에서 채굴할 경우 광석 > 탄산리튬 > 수산화리튬 순서로 가공됩니다. 반면, 염호에서는 탄산리튬 > 수산화리튬 과정만 거치면 되기 때문에 과정이 짧고 광산에서 채굴한 리튬보다 염호에서 채굴한 리튬에 질이 더 좋다고 합니다. 현재 포스코홀딩스가 보유한 염호에서 총 1350만 톤의 리튬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 훈훈한 주식 

 

마무리 

이차전지가 고평가 되어있다고 언론에서 이야기하지만, 과거사례를 살펴보면 고성장 사업은 원래 높은 벨류에이션을 부여받습니다. 과거 인터넷 플랫폼 기업들만 살펴봐도 초기에는 높은 벨류에이션을 부여받았다가 실적이 고성장하지 않으면 벨류에이션을 깎아버립니다. 반면, 이차전지 사업은 높은 벨류에이션을 부여받은 후에도 꾸준히 높은 실적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나라 박스권 장세라고 하여도 과거 주가차트를 살펴보면 고성장 기업들은 꾸준히 우상향 하는 차트를 그리고 있습니다. 혹시 이차전지 투자를 망설이고 있다면 포스코홀딩스와 같은 좋은 기업을 꾸준히 모아가는 것을 어떨까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 나노 신소재 주가 및 투자포인트


🔗 윤성에프앤씨 주가 전망 및 투자포인트


🔗 디이엔티 주가 투자포인트 및 향후 투자전략

 

참고 : 훈훈한 주식 / 815 머니톡 / 배터리 아저씨 / 슬기로운 투자일기 / 포스코홀딩스 공식홈페이지
투자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내용은 주식투자에 참고만 하시라고 제 조사한 자료와 의견을 담았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